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/지역별 결과/호남권

덤프버전 :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/지역별 결과



3.1. 읍면동별 득표율
3.2. 권역별 결과
3.2.1. 서부권[1]
3.2.2. 동부권[2]
3.2.3. 광주권[3]
4.1. 권역별 결과
4.1.1. 전주권[4]
4.1.2. 서부 평야 지역[5]
4.1.3. 동부 산간 지역[6]


1. 호남권[편집]






2. 광주광역시[편집]






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개표 결과
정당투표율
후보강기정주기환
광주광역시
334,699
(74.91%)
71,062
(15.90%)
37.66%[7]
동구
27,775
(73.60%)
6,994
(18.53%)
42.51%
서구
71,873
(74.60%)
15,552
(16.14%)
39.67%
남구
53,512
(76.09%)
11,406
(16.21%)
39.68%
북구
102,468
(75.56%)
21,054
(15.52%)
37.95%
광산구
79,071
(74.05%)
16,056
(15.03%)
33.34%

강기정 후보 득표율 TOP 5
순위지역득표율
1위남구76.09%
2위북구[8]75.56%
3위서구74.60%
4위광산구74.60%
5위동구73.60%

주기환 후보 득표율 TOP 5
순위지역득표율
1위동구[9]18.53%
2위남구16.21%
3위서구[10]16.14%
4위북구15.52%
5위광산구[11]15.03%

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저인 37.66%의 투표율을 보였다. 특히 광산구의 경우 광산구청장무투표 당선되는 일로 인해 투표 의지가 확 꺾인 탓에 투표율이 최저였던 광주광역시 내에서도 33.34%라는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. # 이것이 광주광역시의 낮은 투표율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.

한편 국민의힘 주기환 후보는 공직 선거에 처음으로 출마하는 정치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보수 정당의 사지로 불리는 광주광역시의 모든 구에서 득표율이 15%를 넘는 성과를 거두었다. 또한 국민의힘은 보수 정당 역사상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맥이 끊겼던 광주광역시의회 의원을 27년 만에 배출했다.

여담이지만 광산구는 진보계 군소 정당의 득표가 높은 곳이기도 했다.

3. 전라남도[편집]






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개표 결과
정당투표율
후보김영록이정현
전라남도
672,433
(75.74%)
167,020
(18.81%)
58.44%
목포시
76,408
(81.33%)
13,045
(13.88%)
52.87%
여수시
85,684
(80.24%)
16,912
(15.83%)
46.07%
순천시
79,776
(63.65%)
40,082
(31.98%)
54.43%
나주시
39,317
(77.18%)
8,638
(16.95%)
53.60%
광양시
47,884
(71.16%)
15,322
(22.77%)
54.58%
담양군
19,641
(76.68%)
4,358
(17.01%)
63.79%
곡성군
9,549
(54.15%)
7,225
(40.97%)
73.99%
구례군
11,783
(71.23%)
3,662
(22.14%)
76.23%
고흥군
32,273
(77.78%)
6,793
(16.37%)
77.85%
보성군
16,344
(72.72%)
4,492
(19.98%)
65.90%
화순군
23,759
(76.55%)
4,912
(15.82%)
58.66%
장흥군
17,111
(77.32%)
3,220
(14.55%)
71.54%
강진군
15,844
(76.02%)
3,412
(16.37%)
72.79%
해남군
27,283
(80.75%)
4,180
(12.37%)
59.31%
영암군
21,769
(79.54%)
4,174
(15.25%)
61.24%
무안군
31,544
(79.69%)
6,347
(16.03%)
55.19%
함평군
13,807
(79.57%)
2,801
(16.14%)
64.39%
영광군
22,937
(76.58%)
4,693
(15.66%)
70.24%
장성군
19,721
(78.58%)
3,946
(15.72%)
68.89%
완도군
24,396
(85.66%)
2,762
(9.69%)
69.79%
진도군
15,677
(81.05%)
2,411
(12.46%)
76.32%
신안군
19,926
(80.31%)
3,633
(14.64%)
74.94%

김영록 후보 득표율 TOP 10
순위지역득표율
1위완도군[12]85.66%
2위목포시81.33%
3위진도군81.05%
4위해남군80.75%
5위신안군80.31%
6위여수시80.24%
7위무안군79.69%
8위함평군79.57%
9위영암군79.54%
10위장성군78.58%

78%를 넘긴 지역들이다. 그 외 전체 평균보다 많이 득표한 지역들은 고흥군(77.78%), 장흥군(77.32%), 나주시(77.18%), 담양군(76.68%), 영광군(76.58%), 화순군(76.55%), 강진군(76.02%) 7곳 더 있다.

이정현 후보 득표율 TOP 10
순위지역득표율
1위곡성군[13]40.97%
2위순천시[14]31.98%
3위광양시22.77%
4위구례군22.14%
5위보성군[15]19.98%
6위담양군17.01%
7위나주시16.95%
8위고흥군16.37%[16]
9위강진군
10위함평군16.14%

이정현 후보는 자신이 국회의원을 지냈던 순천시에서 30% 이상, 본인의 고향인 곡성군에서 40%를 넘는, 보수 정당 소속 전라남도지사 후보로서 기록적인 득표율을 달성했다.[17] 총 득표수에서도 윤석열 대통령보다 무려 2만표나 더 얻었으며 김영록 후보의 도정 평가가 항상 1위를 달렸다는 걸 생각해보면 이정현 후보의 개인기가 호남에서 얼마나 대단한지 보여주는 대목.[18]


3.1. 읍면동별 득표율[편집]


김영록 득표율 top 3

1위 완도군 신지면 84.10%[19]

2위 완도군 생일면 83.08%

3위 완도군 완도읍 82.58%


이정현 득표율 top 3

1위 곡성군 목사동면 55.51%[20]

2위 곡성군 삼기면 47.46%

3위 순천시 주암면 45.73%[21]



3.2. 권역별 결과[편집]



3.2.1. 서부권[22][편집]


김영록 지사의 고향인 완도군이 속한 권역 답게 대부분 지역에서 김영록 지사의 득표율이 80%를 넘겼다. 특히 완도군의 경우 전라남도 모든 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이정현 후보가 한자릿수 대 득표율에 그쳤고 김영록 지사가 85.66%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.

이 외에 진보당 민점기 후보의 고향이자 전농의 세가 강한 장흥군과 전라남도 서부에서 보수세가 미약하게 나마 있는 강진군에서는 70% 후반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.

3.2.2. 동부권[23][편집]


이정현 후보의 지역 기반이자 영남과 인접해 있는 영향도 있었기에 타 권역보다 이정현 후보의 득표율이 높았으며, 특히 고향 곡성군과 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순천시에서는 평균 득표율을 훨씬 상회하는 득표율을 얻었다.(각각 41%와 32%) 또한 순천시, 곡성군과 같은 국회의원 선거구에 묶이는 광양시와 구례군에서도 22%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. 특히 순천시에서는 비례대표 시의원을 1명 배출하는데 성공하며 기초 의원 정당 공천 제도가 시행된 이래 전라남도 지역에서 첫 보수 정당 소속 기초의회 의원을 배출하는데 성공했다.

3.2.3. 광주권[24][편집]


김영록 후보가 여유롭게 승리를 거뒀지만, 이정현 후보도 이 지역에서 모두 선거비 전액 보전선인 15%를 넘기며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.

4. 전라북도[편집]





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
전라북도 기초의회의원 선거 결과
[25]
168석3석1석1석24석

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지사 개표 결과
정당투표율
후보김관영조배숙
전라북도
591,510
(82.11%)
128,828
(17.88%)
48.64%
전주시 완산구
99,377
(80.86%)
23,509
(19.13%)
40.22%
전주시 덕진구
75,741
(79.62%)
19,377
(20.37%)
40.57%
군산시
73,109
(85.89%)
12,003
(14.10%)
38.73%
익산시
83,134
(80.07%)
20,682
(19.92%)
44.86%
정읍시
44,026
(84.68%)
7,960
(15.31%)
58.17%
남원시
35,477
(83.43%)
7,046
(16.56%)
64.51%
김제시
33,765
(82.59%)
7,114
(17.40%)
58.82%
완주군
32,573
(82.01%)
7,144
(17.98%)
52.54%
진안군
13,062
(82.36%)
2,796
(17.63%)
73.41%
무주군
11,971
(77.97%)
3,381
(22.02%)
76.44%
장수군
11,607
(83.96%)
2,216
(16.03%)
75.28%
임실군
13,689
(81.90%)
3,024
(18.09%)
72.44%
순창군
14,230
(81.33%)
3,265
(18.66%)
77.79%
고창군
27,811
(84.92%)
4,935
(15.07%)
72.85%
부안군
21,938
(83.37%)
4,376
(16.62%)
60.27%

김관영 후보 득표율 TOP 10
순위지역득표율
1위군산시[26]85.89%
2위고창군84.92%
3위정읍시84.68%
4위장수군83.96%
5위남원시83.43%
6위부안군83.37%
7위김제시82.59%
8위진안군[27]82.37%
9위완주군82.01%
10위임실군81.90%

조배숙 후보 득표율 TOP 10
순위지역득표율
1위무주군22.02%
2위전주시 덕진구20.37%
3위익산시[28]19.92%
4위전주시 완산구19.13%
5위순창군18.66%
6위임실군18.09%
7위완주군[29]17.98%
8위진안군17.63%
9위김제시17.40%
10위부안군16.62%

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김관영 후보가 압승을 거뒀지만, 국민의힘 조배숙 후보도 주기환 후보, 이정현 후보와 마찬가지로 15% 득표율을 넘기며 선전했다. 김관영 후보의 고향인 군산시를 제외하면 모든 기초자치단체에서 선거비 전액 보전선인 15%를 넘었다. 조배숙 후보의 고향인 익산시에서도 19.92%를 득표하며 전체 득표율에 비해 높은 득표를 했다.

4.1. 권역별 결과[편집]



4.1.1. 전주권[30][편집]



4.1.2. 서부 평야 지역[31][편집]



4.1.3. 동부 산간 지역[32][편집]




[1] 목포시, 무안군, 신안군, 영암군, 해남군, 진도군, 강진군, 장흥군, 완도군.[2] 순천시, 여수시, 광양시, 구례군, 곡성군, 고흥군, 보성군.[3] 나주시, 담양군, 장성군, 화순군, 함평군, 영광군.[4] 전주시, 완주군.[5] 익산시, 군산시, 김제시, 고창군, 부안군, 정읍시.[6] 남원시, 임실군, 순창군, 무주군, 진안군, 장수군.[7] 역대 전국 단위로 치러진 선거 중 가장 낮은 투표율이다.[8] 전라남도 고흥군 출신인 강기정 후보가 국회의원을 지낸 곳. 다만 최다 득표지는 남구이고 북구는 2위다. 전체 평균보다 득표율이 높은 곳은 여기까지다.[9] 주기환 후보가 광주지방검찰청 수사과장을 지낸 곳. 가장 득표가 높다.[10] 전체 평균보다 득표율이 높은 곳은 여기까지다.[11] 주기환 후보의 고향. 그러나 득표가 가장 낮다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이용섭 전 시장의 국회의원 지역구였다.[12] 김영록 후보의 고향이자 국회의원을 했던 곳.[13] 이정현 후보의 고향.[14] 이정현 후보가 국회의원을 했던 곳.[15] 전체 평균보다 득표율이 높은 곳은 여기까지다.[16] 소수 셋째자리까지 표기시 고흥군 16.373%, 강진군 16.372%.[17] 특히 출신지인 목사동면에서는 52.38%로 과반을 넘는 득표를 했으며 삼기면에서도 김영록 지사를 이겼다.[18] 즉 김영록 지사가 도지사 임기 중 무능한 모습을 여럿 보여 도정 평가가 안좋았다면 접전지가 되거나 심지어는 전남에 붉은 깃발이 꽂혔을 수도 있었다.[19] 완도군은 김영록 후보의 고향이다.[20] 유일하게 과반을 넘긴 읍면동이며, 이정현 후보의 고향이다.[21] 순천시는 이정현 후보의 전 지역구다.[22] 목포시, 무안군, 신안군, 영암군, 해남군, 진도군, 강진군, 장흥군, 완도군.[23] 순천시, 여수시, 광양시, 구례군, 곡성군, 고흥군, 보성군.[24] 나주시, 담양군, 장성군, 화순군, 함평군, 영광군.[25] 전라북도 군산시의회 나선거구에서 당선인 정족수 미달이 발생해 시의원 1석은 공석으로 남았다.[26] 김관영 후보의 고향이자 국회의원을 했던 곳. 유일하게 85%를 넘겼다.[27] 전체 평균보다 득표율이 높은 곳은 여기까지다.[28] 조배숙 후보의 고향이자 국회의원을 했던 곳. 20%를 넘긴 무주군, 전주시 덕진구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득표했다.[29] 전체 평균보다 득표율이 높은 곳은 여기까지다.[30] 전주시, 완주군.[31] 익산시, 군산시, 김제시, 고창군, 부안군, 정읍시.[32] 남원시, 임실군, 순창군, 무주군, 진안군, 장수군.